Posts

Search Console

Google의 search console, Naver의 search advisor, Daum의 검색 등록

계정명 변경 (zjarhdsumin -> devbacksu)

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

  • Googl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
  • 웹 마스터 도구
  • 사용자가 사이트의 구글 검색 결과 인지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
  • 구글 검색을 통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도움


Daum 검색 등록

  • 무료로 등록 가능
  • 사이트 등록/변경/삭제 -> Daum 검색등록 가이드에 따라 검토
  • 검색 노출을 보장 X
  • 처리 결과를 이메일로 발송
  • 등록 이후 검색 노출 -> 최대 5일 소요


Naver Search Advisor

  • Naver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웹 마스터 도구
  • 운영하는 사이트의 검색 반영 및 제외를 위해 검색 반영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Github 블로그를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하는 방법

  1.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시작하기] 버튼 클릭

    Desktop View

  2. 만약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로그인을 하고 이후 search console에 등록하고 싶은 url을 입력한다. 나는 내 github 블로그 https://zjarhdsumin.github.io 를 등록하고 싶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

    Desktop View

  3. 구글에서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 제공하는 html 파일 다운로드 한다.

    Desktop View

  4. 다운로드 한 html 파일을 아래의 경로에 넣은 후 git add -> git commit -> git push

    html 파일을 통해 소유권을 검사하기 때문에 삭제 X

  5. github에서 push 완료를 확인 한 후 위 (3번) 이미지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팝업이 뜬다.

    Desktop View

    [속성으로 이동] 버튼 클릭 시 아래의 화면으로 이동된다.

    Desktop View

  6. gemfile 수정 후 ruby prompt에서 bundle install과 jekyll serve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참고한 블로그에서는 jekyll-sitemap 추가 후 install 했을 때 로그에 추가한 내용이 찍히는데 필자는 찍히지 않았다. 이미 다운된 상태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Desktop View

  7. 이후 http://localhost:4000/sitemap.xml 에 접속하면 sitemap.xml 파일 내용 확인할 수 있다. 이 xml 파일을 복사해서 Gemfile의 위치에 동일한 이름의 파일을 생성한 후 붙여 넣기 한 후 같은 위치에 robots.txt1를 넣어야 한다. (내 경우, robots.txt가 assets 폴더 내에 있어서 아래의 경로로 이동시켰다.)

    Desktop ViewDesktop View
    sitemap.xml과 robots.txt 위치robots.txt 내용
    robots.txt 변수명설명
    User-agentrobots.txt에서 지정하는 크롤링 규칙이 적용되어야 할 크롤러를 지정한다. *은 모든 검색 엔진 로봇의 접근 허용을 뜻한다. (크롤러명 : 구글 (Googlebot) / 네이버 (Yeti) / 다음 (Daum) 등)
    Disallow크롤링을 제한할 경로
    Allow크롤링을 허용하는 경로
    Sitemapsitemap 경로


  8. 7번의 수정 내용을 github에 올린 (add -> commit -> push) 후 Google Search Console의 sitemap 으로 들어가 사이트맵 sitemap 파일명 을 추가한다.

    Desktop View

  9. git push가 잘 됐다면 제출 버튼 클릭 시 아래의 팝업이 뜨고 제출된 사이트맵 목록도 확인이 가능하다. 위 설정 완료 시 7일 이내에 검색 엔진에 노출된다.

    Desktop View Desktop View

  10. 기본적으로 sitemap만 등록하면 검색이 되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 만약 검색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의 방법을 시도해보아야 한다. 우선 URL검색에서 본인의 블로그 주소 (필자는 https://devbacksu.github.io 를 입력했다.)를 검색한다. 이후 색인 생성 요청 을 클릭해 직접 색인을 요청한다.

    url

    테스트가 끝나고 색인 생성 요청 요청이 완료되면 아래의 창이 뜬다.

    url

    닫기를 누르면 색인이 요청된 상태로만 뜨다가 10분 정도 기다리면 색인 등록이 완료된다.

    url url

속성 삭제

삭제하고 싶은 속성을 선택한 후 아래 이미지를 따라 버튼 클릭 시 속성을 삭제할 수 있다. Desktop View Desktop View



Github Blog를 Daum 검색 등록에 등록하는 방법

  1. Daum 검색 등록 사이트에 접근해 등록할 방식 (사이트 등록 / 지역 정보 / 블로그 등록)을 선택해 내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daum
  2. 개인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다. daum
  3. 사이트 / 블로그 / 지역 정보가 등록되거나 실패했을 때 알림을 받기 위한 메일 주소를 등록한다. daum
  4. 등록 신청 성공 페이지가 뜨면 신청이 성공한 것이다. daum



Github Blog를 Naver Search Advisor에 등록하는 방법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접근한다. naver
  2. 등록할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고 가장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naver
  3. Google처럼 소유권 확인을 위한 html 파일을 다운 받아 루트 디렉터리에 넣는다.
    • 파일은 형광펜으로 줄을 친 HTML 확인 파일을 클릭하면 다운 받을 수 있다.
    • 파일을 / 디렉터리에 넣은 후 git add -> commit -> push를 진행 한 후 아래쪽 업로드 확인을 위한 링크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뜨게 된다. naver
  4. 이후 소유권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자동 등록 방지를 위한 보안 절차를 진행한 후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뜬다. naver
  5. 확인 후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오면 등록을 완료한 것이다. naver
  6. 등록이 완료되었으면 [간단 체크] 탭으로 넘어와 검색 최적화 정보를 확인한다. 확인할 url을 입력 후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 등록 방지를 위한 보안 절차를 진행한다. naver
  7. 다음처럼 모든 항목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면 문제가 없다. naver
  8. Search Console처럼 sitemap을 등록한다. url
  9. 웹 페이지 수집 요청도 했다. url

Err List

24.05.24 Problem

Google Search Console

서치 콘솔 설정 완료 후 일주일이 지난 어느 날 (24일), 서치 콘솔을 확인하니 위 사진의 오류가 떠 있었다.

시도한 방법

  1. sitemap 검색해보기
    • https://(내 블로그 주소)/sitemap.xml을 검색했을 때 xml 내용이 나오는지 확인

    ->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여전히 실패 상태

  2. 사이트맵 삭제 후 다시 추가하기
    • 사이트맵 삭제

    • 사이트맵 추가

    -> 여전히 실패 상태

  3. 서버 사용 불가 같은 기타 Search Console 오류
    • Github의 경우 사이트맵 인식 관련 문제가 있다고 한다.
    • 2~3개월 후에 정상 인식이 되기는 한다고 하는 글도 있었다.

    -> 모든 방법이 먹지 않으면 일단 대기를 해야 할 것 같다.

  4. robots.txt 문제
  5. 사이트맵에 대한 크롤링 수요가 낮음
    • 높은 품질의 컨텐츠를 제작해 수요를 높여야 한단다.


해결 방법

Sitemap 수정

sitemaps에서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후 start 버튼 클릭 시 내 블로그의 sitemap.xml을 생성해준다.

생성한 sitemap.xml 파일을 기존 sitemap.xml 파일이 있던 곳에 넣어 덮어쓴다.


IF

search console 오류브라우저에서 sitemap.xml 검색 시 오류

만약 모두 시도한 이후에도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경우

  • 새로 다운 받은 sitemap의 <urlset> 부분에 이전 sitemap의 <urlset>을 추가 (같은 내용은 삭제)
  • sitemap 내 주석 및 엔터 부분 모두 삭제
  • 수정 후 git push 했는지 확인하기

내 경우, 주석을 지운 후 등록한 sitemap이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하지만 브라우저에서 sitemap을 검색했을 때는 내가 지웠던 주석이 그대로 남아있던 것을 보아 아무래도 google은 무언가를 등록/수정/삭제한 이후에는 구글이 내 변경 사항을 적용할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 같다.

240529 - sitemap 검색 시 주석이 삭제되었다! 추측 상 <urlset>을 수정한 후부터 오류가 사라진 것 같다.

240604 - push와는 상관 없이 수정하면 search console에 sitemap을 직접 등록해야 하는 것 같다. 초반에는 push랑 연동인가? 하고 push만 했는데 변경 사항이 적용되지 않았다.


24.06.10

  1. 검색 최적화 조회를 했을 때 robots.txt 항목에 X 표시가 있었다.
    • 내 robots.txt를 확인해보니 sitemap의 경로가 변경 전 계정의 주소로 되어 있었다.
    • sitemap 경로 수정 후 push한 뒤 다시 확인해보니 Naver Search Advisor의 7번 이미지처럼 모든 항목에 V 표시가 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참고

네이버 웹마스터 가이드

Dodev님 - 초보자를 위한 Github Blog 만들기

SuperMemi님 -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KiTFOx’s Notepad님 - jekyll 테마 적용시킨 Github 블로그 로컬에서 변경사항 확인하기




추가

  • 사용한 테마 : jekyll chirpy



  1. 검색 로봇에게 웹 페이지 접근을 허용 및 제한하는 국제 권고안으로, 크롤링해서는 안 되는 사이트 내 URL이나 디렉터리를 검색 엔진에게 알려주는 텍스트 파일의 이름. 반드시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해야 하며 텍스트 파일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

이 포스트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